학습
[스크랩] 전공교과 소개
d푸른하늘b
2009. 2. 6. 01:37
분야 | 교과목명/담당교수명 | 주요내용 | 학년-학기 |
경제원론A / 박덕제 | 초보적인 미시이론을 공부한다. 이 과목에서 공부할 주된 내용은 생산물과 생산요소의 시장 수요 및 공급의 결정원리와 가격의 결정 및 그 변동의 원인을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일이다. 또 시장경제에서 자원배분원리와 그 효율성의 조건을 이해하는 것도 이 과목의 주요한 과제이다. | 1-1 | |
경제원론B | 균형국민소득의 결정과 변화의 원리에 관하여 단순모형과 확장모형을 통하여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두며, 아울러 실업과 인플레이션, 국제경제의 기초이론에 관하여도 학습한다. | 1-2 | |
경제사개설 / 윤영자 | 인류의 경제발전과정을 규명함으로써 현 자본주의사회가 어떠한 단계를 거쳐 성립되었는가를 이해하고 경제사의 학문적 규정과 함께 그의 경제법칙적 인식능력을 고취시키는데 있다. | 2-1 | |
한국경제의이해 / 김기원 | 국어 어휘 및 문장의 의미에 대한 학습 이제까지 학생들이 공부한 경제학 지식을 토대로 하여 한국경제가 어떠한 발전과정을 밟아 왔고, 현재의 상태는 어떠하며 그 문제점은 무엇이며, 앞으로 한국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디인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강의에 가급적 시사적인 내용을 많이 포함시킴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현실감을 갖도록 한다. | 2-2 | |
미시경제론 / 김무홍 | 개별 경제주체들이 경제행위의 동기와 행동양식을 해명하고 해명된 경제행위의 원리에 의거하는 여러가지 유형의 경제주체들의 의사결정의 결과들이 어떻게 시장에서 상호작용하여 균형이 이루어지는가를 고찰함에 의해 경제학의 기본적인 주제인 시장가격기구하에서의 자원배분과정을 해명하고 자원배분의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해 공부한다. | 3-1 | |
경제사상과 이론 / 권광식 |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회경제사상의 기본 배경과 사회경제구조와의 관계를 유기적이며 동태적으로 고찰해 본다. | 3-1 | |
한국경제사 | 개항기와 식민시기에 있어 한국경제의 구조변화와 그 성격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학습하고 개항이전 전통사회와 8.15 직후에 있어 재편과정에 대하여도 보완 설명한다 | 3-1 | |
화폐금융론 / 노형규 | 화폐금융론은 기본적으로 금융시장 및 화폐시장을 대상으로 한다. 금융시장을 분석함에 있어서 먼저 금융제도를 소개하고 금융기관을 비롯한 각 금융주체들의 금융행위를 파악한다. 그리고 금융시장 내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들의 특성 및 가격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폐시장의 분석은 통화의 공급이론과 수요이론에서 출발하여 통화시장의 균형상태를 도출하고 주요 경제변수들에 대한 통화정책의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통화정책의 유효성 및 거시경제구조에 대해서 서로 다른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여러 학파들의 이론적 차이점을 상호 비교하여 이들 학파들이 주장하는 통화금융정책의 내용를 분석한다. | 3-1 | |
거시경제론 |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제시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국민소득, 물가수준, 이자율, 임금, 고용수준 등과 같은 거시경제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 원리를 해명하는데 중점을 둔다. | 3-2 | |
국제금융론 | 개방경제에서 국민소득.국제수지.환율의 결정, 경제정책의 효과, 환율제도, 국제통화체제 등을 이론적으로 공부함으로써 국제금융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능력을 배양한다. | 3-2 | |
현대의노동문제 / 박덕제 | 노동문제의 기본적 성격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정책적 해결방안과 장기적 발전추세를 전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동문제에 관해서는 노동시장, 임금, 고용, 노동과정, 노사관계, 노동정책의 분야로 구분하여 각분야에 관한 이론과 한국의 현실을 공부한다. | 3-2 | |
북한의사회와경제 / 김기원 | 우리의 미래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북한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기 위해 개설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선 북한의 정치, 외교, 사회생활 일반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그를 기초로 북한경제의 전개과정과 북한경제의 위기 및 현황을 살펴보고, 아울러 남북한 경제협력 실태와 통일경제에 대한 전망을 갖게 하고자 한다. | 4-1 | |
동아시아경제론 | 동아시아경제론에서는 일본과 중국의 근현대경제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각국 현대경제의 구조적 실태를 검토한다. 제Ⅰ편에서는 메이지유신에서 1950년대까지 일본 근현대경제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제Ⅱ편에서는 1960년대 이후 현대 일본경제의 구조적 실태를 검토한다. 제Ⅲ편에서는 개항에서 현재까지 중국 근현대경제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제Ⅳ편에서는 현대 중국경제의 구조적 실태와 전망에 관하여 검토한다. | 4-2 | |
재정학 / 노형규 | 시장이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실패할 때 신고전파세계에서도 정부의 시장개입은 정당화된다. 먼저 파레토최적의 개념을 통하여 시장실패의 기준을 이해한다. 그리고 각 시장실패를 보완하고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최적행동을 이론적으로 도출한다. 특히 강의 중에 이러한 이론들이 실제로 관찰되어지는 정부의 경제활동을 얼마나 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해 관심을 둔다. 조세에 있어서는 효율성과 형평성의 측면에서 조세의 유인효과와 조세의 귀착효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조세제도를 평가한다. 끝으로 지방재정에 대한 주요 이론을 소개한다. | 4-2 |
출처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 학생회
글쓴이 : 학생회장 이흥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