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태정태세…’ 조선왕릉 40기 세계문화유산 등재 눈앞에

d푸른하늘b 2009. 5. 14. 21:01
‘태정태세…’ 조선왕릉 40기 세계문화유산 등재 눈앞에




 
국제유적‘등재권고’ 평가
내달 위원회서 최종 확정


조선왕릉 40기가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최근 유네스코에 제출한 조선왕릉 평가결과보고서에서 조선왕릉을 ‘등재 권고’로 평가했다. 문화재청은 13일 “6월 22∼30일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리는 제3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승인 절차가 남아 있지만 평가 결과로 보면 등재될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밝혔다.

ICOMOS는 세계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유네스코 비정부기구로 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ICOMOS의 평가는 등재 권고, 보류, 반려, 불가의 4등급으로 나뉜다. ICOMOS 집행위원인 이혜은 동국대 교수는 “국제적 정치 갈등 같은 특별한 상황에 처한 국가가 아니면 세계유산위원회는 ICOMOS의 권고안을 거의 수용한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ICOMOS는 보고서에서 △유교와 풍수 전통을 기반으로 한 독특한 건축과 조경 양식 △제례 의식으로 이어진 무형유산의 전통 △조선왕릉 40기 전체의 통합적 보존 관리를 높게 평가했다.

조선왕릉은 조선시대 27대 왕과 왕비, 사후에 추존된 왕과 왕비 무덤 42기가 남아 있으며 이 중 제릉(태조의 비 신의왕후의 능), 후릉(정종과 정안왕후의 능) 등 2기는 북한에 있다. 세계적으로 조선왕릉처럼 수백 년 지속된 왕조의 무덤이 온전히 보존된 사례가 없다.

조선왕릉은 경기 일대와 강원 영월군에 집중돼 있으며 자연과 인공 경관이 조화돼 ‘신()의 정원’으로 불린다. 제사를 준비하는 재실, 왕릉 입구인 홍살문, 제사를 지내는 정자각, 왕과 왕비의 시신이 묻힌 봉분으로 이어지는 건축 양식은 세계적으로 유일하다.



한국은 석굴암과 불국사, 종묘, 창덕궁, 수원화성 등 7건의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1건을 보유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올해 경북 경주 양동마을과 안동 하회마을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했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관광객이 늘어나고 갑작스러운 재난으로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을 보유 국가가 복구할 수 없을 경우 유네스코가 기술과 재정을 지원하기도 한다.

유네스코는 세계유산의 보존과 관리 의지를 비중 있게 평가하고 있어 조선왕릉의 원형 복원이 새로운 과제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유네스코 세계유산:

유네스코가 1972년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인류를 위해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한 유산이다.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자연+문화)유산으로 나뉜다. 2008년 7월 현재 141개국에서 878건(문화유산 679건, 자연유산 174건, 복합유산 25건)이 등록돼 있다. 매년 6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태조의 능인 건원릉(경기 구리시.사진)과 중국 청나라 태조의 능인 동릉, 프랑스의 17세기 대표적 정원인 보르비콩트. 건원릉이 자연 지형을 최대한 이용한 반면 동릉과 보르비콩트는 인공적인 느낌이 강하다. 유럽의 정원건축가들은 자연과 인공이 조화된 조선 왕릉에 "신(神)의 정원"이라는 찬사를 보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조선왕릉 주변 경관 훼손 우려 조선 왕릉은 봉분 좌우를 에워싸는 수려한 경관이 특징이다. 하지만 주변 고층건물이 풍광을 훼손하는 경우가 많아 보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태조 계비 신덕왕후의 능인 서울 성북구 정릉(왼쪽) 앞에는 아파트가 들어섰고, 서초구 내곡동 순조의 능인 인릉(사진)의 봉분에서 바라본 경관의 오른쪽에서는 건물 신축 공사가 진행 중이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태조의 능인 건원릉. 동아일보 자료사진

 

세종 영릉 봉분. 동아일보 자료사진

 

조선 왕릉 입구 홍살문에서 바라본 정자각. 영조 원비 정성왕후의 능 홍릉(경기 고양시)이다. 입구를 바라보고 있으니 당연히 건축물의 정면이어야 하지만 시야에 들어온 모습은 측면이.

동아일보 자료사진 

 

성종 능 선릉과 중종 능 정릉(서울시 강남구 삼성동)은 도심 속 쾌적한 녹지를 제공한다. 조선의 `그린벨트` 정책이 준 선물이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경기 고양시 홍릉 영조 원비 정성왕후의 능 홍릉. 동아일보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