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 TEST [예제 문제]

d푸른하늘b 2009. 9. 23. 15:26

매경TEST 예제문제

★ 예제1

◆ 옵션 거래의 손익계산법

한국이는 배추 유통업을 하고 있다. 수확시점(11월)에 가격이 크게 변동할 것을 우려하여 배추 생산농가와 다음과 같은 두 계약을 오늘(9월 22일) 체결했다.

계약A : 수확 시점에 배추를 1000평에 1000만원 받고 팔 수 있는 권리를 100만원에 구입했다. 만약 수확 시점에 배추가격이 1000평에 1000만원 이상한다면 이 권리를 포기할 것이다.

계약B : 수확 시점에 배추를 1000평에 1000만원 주고 살 수 있는 권리를 80만원에 구입했다. 만약 수확 시점에 배추가격이 1000평에 1000만원 이하한다면 이 권리를 포기할 것이다.

만약 수확 시점에 실제 배추가격이 1000평에 700만원으로 폭락했다면 한국이의 손실 또는 이익액은?

(1) 180만원 손실(2) 80만원 손실(3) 20만원 이익

(4) 120만원 이익(5) 200만원 이익

■ 해설

최근 증권시장의 활황세에 힘입어 상장지수펀드(ETF)의 인기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상장지수펀드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잘못된 것은?



(1) 주가지수를 추종하므로 수동적 투자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2) 주식형 펀드와 달리 환매가격을 투자자가 결정할 수 있다.

(3) 인덱스펀드에 비해 보수 및 운용수수료가 싸다.

(4) 상장지수펀드 중 공매도나 대주 개념의 ETF도 존재한다.

(5) 일반펀드와 같이 발행시장만이 존재한다.

★ 예제2

◆ 상장지수펀드의 장단점

상장지수펀드(ETF:Exchange Traded Fund)란 주가지수(코스피200) 등 각종 유가증권 지수와 연동하여 운영되는 인덱스펀드를 주식시장에 상장한 상품이다.

ETF는 분산투자를 통한 투자위험의 감소를 추구하는 동시에 주식시장에서의 거래를 통해 간편함과 높은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ETF는 일반펀드 또는 인덱스펀드와 비교해 보수나 수수료가 훨씬 낮다. 일반 주식형 펀드의 경우에는 보수 및 수수료가 2~3%, 인덱스 펀드는 1% 내외인데 비해 ETF는 0.3~0.6%에 불과하다. 일반 펀드의 경우 설정 시에는 당일 종가, 환매 시에는 익일 종가로 판매가격이 결정되는 반면 ETF는 투자의사결정 시점과 설정 및 환매시점의 가격이 그대로 적용된다.

이와 함께 ETF는 현물로 설정, 해지되기 때문에 펀드와 같은 환매나 해지수수료가 존재하지 않아 전술적 투자가 가능하다. 특히 인버스ETF가 지난 16일부터 판매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지수 하락 시 오히려 이익을 얻게 되어 일종의 공매도 또는 대주의 개념과 유사한 것이다. ETF는 일반펀드와는 달리 ETF가 설정, 해지되는 발행시장과 주식같이 매매되는 유통시장 등 두 개의 시장이 존재한다. 답은 (5).

■ 해설

이 문제는 옵션에 관한 설명을 실생활에 적용한 것이다. 옵션이란 특정 상품을 일정 기간 안에 일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매매하는 권리를 돈(프리미엄)을 주고 사고파는 것을 뜻한다.

계약A는 행사가격이 1000만원인 풋옵션을 100만원의 프리미엄을 주고 매입했다는 의미이고 계약B는 행사가격이 1000만원인 콜옵션을 80만원의 프리미엄을 주고 매입했다는 의미다.

따라서 만약 수확시기에 실제 배추가격이 1000평에 700만원으로 폭락했다면, 계약A로부터 200만원의 이익을, 계약B로부터 80만원의 손실을 얻기 때문에 총 120만원의 이익을 보게 된다. 즉 계약A를 통해서는 수확시점에 시장에서 배추를 700만원에 구입해서 1000만원에 판매할 수 있으므로 300만원의 이익을 보고, 여기서 권리매입 가격을 차감하면 200만원의 이익을 본다. 또한 계약B를 통해서는 시장에서 700만원에 구입할 수 있으므로 900만원에 살 이유가 없어져 권리를 포기함으로써 권리매입 가격인 80만원만 손해보게 되는 것이다. 답은 (4).

[이준서 교수 동국대 경영학과]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