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d푸른하늘b
2009. 11. 25. 03:09
[매경 TEST] 독점사업자 최적 생산량은? |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 |||||||||
독점사업자의 최적 생산량 결정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에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독점사업자는 완전경쟁사업자와 동일하게 한계수입(marginal revenue)과 한계비용(marginal cost)이 같아지는 점에서 최적 생산량을 결정한다. ② 독점사업자는 절대로 수요탄력성이 1보다 작은 구간, 즉 비탄력적인 구간에서 최적 생산량을 결정하지 않는다. ③ 독점사업자의 한계수입은 가격과 같으므로 독점사업자의 공급곡선은 한계비용곡선과 같다. ④ 독점사업자의 한계수입곡선은 독점사업자에게 주어진 수요곡선보다 아래에 있는데 그 이유는 독점사업자가 판매량을 늘리면 모든 판매량에 대해 낮은 가격을 받기 때문이다. ⑤ 독점사업자의 최적 공급량은 사회적인 최적 공급량보다 작다. ■ 해설 독점사업자의 최적 생산량 조건은 한계수입이 한계비용과 같아지는 것인데 이 조건은 완전경쟁사업자를 비롯한 모든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이다. 한편 이 조건은 독점사업자일 때 약간의 유도과정을 거쳐 가격X(1-1/수요탄력성)=한계비용이라는 식으로 변형된다. 이 식 좌변의 괄호 안의 식이 0보다 커야 하고 이것에서 독점사업자의 최적 생산량에서 수요탄력성은 1보다 작아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독점사업자의 최적 생산량은 한계수입곡선이 한계비용곡선을 만나는 데서 결정되는데 사회적인 최적 생산량은 수요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이 만나는 데서 결정되므로 독점사업자의 최적 생산량은 사회적 최적 생산량보다 작아진다. 정답은 ③. ★ 예제2 기업 A와 기업 B는 같은 도시에서 아이스크림을 생산하는 사업자들로 이 도시에는 다른 아이스크림 생산 기업이 없다. 이 두 기업의 아이스크림 생산기술은 동일하여 같은 비용함수를 가지고 있다. 이 두 기업으로 구성된 복점시장(duopoly)에서 아이스크림 균형 생산량과 균형 가격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이 두 기업이 생산량으로 경쟁할 때, 즉 쿠르노 복점이면 두 기업의 균형 생산량 합은 이 시장에 독점기업이 존재할 때 균형 생산량보다 커지고 따라서 가격은 독점 가격보다 낮아진다. ㉡ 이 두 기업의 관점에서 본다면 두 기업 이윤의 합은 두 기업이 담합을 하여 얻을 수 있는 이윤의 합보다 낮아지므로 파레토 최적이 아니다. ㉢ 이 두 기업이 가격으로 경쟁할 때, 즉 베르트랑 복점이면 두 기업은 한계비용까지 가격을 낮추게 되어 완전경쟁시장과 같은 균형 가격이 책정된다. ㉣ 복점시장에서 개별기업이 독점기업보다 가격을 낮추는 이유는 자신이 가격을 높이려 생산량을 줄이더라도 경쟁기업이 생산량을 늘리면 시장 가격이 낮아지는 외부 효과로 인한 것이다. ① ㉠ ② ㉠, ㉡ ③ ㉠, ㉢ ④ ㉠, ㉡, ㉢ ⑤ ㉠, ㉡, ㉢, ㉣ ■ 해설 복점시장에서 두 기업이 생산량으로 경쟁을 하는 쿠르노 복점일 때는 두 기업이 상대 기업 생산량 결정을 주어진 것으로 하고 이에 대한 최적 반응 함수를 이용하여 균형 생산량을 결정하는데 그 결과 두 기업 생산량의 합은 독점기업의 그것보다 커진다. 그 이유는 개별기업이 가격을 높이기 위해 생산량을 줄이더라도 경쟁기업이 생산량을 늘리면 시장 가격이 낮아지는 외부 효과 때문이다. 두 기업이 가격으로 경쟁을 하는 베르트랑 복점에서는 시장가격이 한계비용보다 높으면 가격을 더 낮추어 판매량을 증가시킬 유인이 있으므로 균형가격은 한계비용과 같아지고 이는 완전경쟁시장에서 균형 가격과 동일한 결과다. 복점시장에서 두 기업은 생산량으로 경쟁하건 가격으로 경쟁하건 담합을 했을 때 총이윤, 즉 독점사업자의 이윤보다 낮은 이윤을 얻게 되므로 두 기업 관점에서 본다면 파레토 최적이 아니다. 정답은 ⑤. [이인호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