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펌글)
창업연재-[프랜차이즈 CEO의 성공학] ① `본죽` 김철호 사장
d푸른하늘b
2010. 1. 23. 02:36
[프랜차이즈 CEO의 성공학] ① `본죽` 김철호 사장 | |||||||||||||||||||||||||||||||||||||||||||||||||
"편하게 하자" 이런 마음가짐부터 버리세요 | |||||||||||||||||||||||||||||||||||||||||||||||||
많은 사람이 창업을 꿈꾸지만 이를 성공으로 이어가기란 쉽지 않은 법이다. 따라서 예비 창업자는 물론 실제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점주들도 성공으로 가는 조언을 듣고 싶어한다. 매일경제는 작은 매장을 운영하다 대형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발돋움시킨 프랜차이즈 CEO들이 전하는 `성공학 강의`를 준비했다. 해당 분야에서 `박사`나 다름없는 프랜차이즈 CEO들 비법은 무엇일까.
"똑같은 곳에서 똑같은 상품을 팔아도 점주마다 성과가 다르죠. 편하고자 하는 유혹을 떨쳐내는 것이 그 차이를 만듭니다." `본죽` `본비빔밥` `본국수대청` 등 1200여 개 가맹점을 확보하고 있는 김철호 본아이에프 사장. 한식에 있어서 국내 대표 프랜차이즈 업체로 꼽히는 본죽은 지금까지 문을 닫은 가맹점이 6곳에 불과하다. 폐업률 1% 미만 프랜차이즈를 만든 김 사장이지만 시작은 미미했다. 대학로에서 80㎡짜리 매장을 운영하면서 이 사업을 시작한 것. 그가 가장 강조하는 것은 어느 정도 선까지는 꼭 지킨다는 `가이드라인`이다. 예컨대 수익성을 생각하면서 싼 재료만 쓰는 점주들은 결국 실패를 맛본다는 게 그의 철학이다. 그는 "똑똑한 사람이라고 사업을 잘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며 "사람이라는 게 편해지고 싶은 게 당연하지만, 그 속에서도 원칙을 지키는 사람만이 성공한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음식에서 최고 마케팅은 전단지가 아닌 맛과 정성, 즉 기본에서 나온다고 강조한다. 그는 "본죽은 주문을 받고 나서야 죽을 쒀서 내놓는데, 조금이라도 편하고자 미리 죽을 쒀놓는 경우도 있다"며 "미리 만들어 놓은 죽은 맛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결국 손님들은 떠나게 마련"이라고 말했다. 음식업에서는 항상 `절박함`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그 역시 대학로에서 매장을 운영할 때 그 같은 절박함이 있었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인정한다. 하다 못해 전단지를 나눠줄 때도 절박한 심정으로 거리에 나섰던 그다. 김 사장은 "3개월간 내가 가진 가장 좋은 옷을 입고, 같은 장소에서 사람들이 들고 가기 좋게 접어서 전단지를 나눠 줬다"며 "나눠 주는 전단지도 너무 많지 않게, 타깃을 정해서 한 명 한 명 설명해 주다 보니 손님들이 찾아오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전단지 몇 장을 뿌려도 얼마나 정성을 들였는지에 따라 확연하게 다른 결과가 나온다"고 덧붙였다. 그는 예비 창업자들이 외식업에 나설 때 주의할 점에 대해서도 조언했다. "프랜차이즈를 선택할 때는 그 브랜드가 잘 관리되고 있는지를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리 좋은 브랜드도 관리가 소홀하면 경쟁력을 잃어요. 가맹점 개수로 홍보하는 프랜차이즈가 있는데, 이보다는 몇 개가 문을 닫았는지를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브랜드나 기술이 독창적인지 여부도 중요하다. 아이템이 쉽다면 `미투` 아이템이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진입장벽도 중요하다. 그동안 많은 아이템이 미투 브랜드로 사라져간 만큼 전문적인 노하우가 있어야 이 같은 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가맹점이 어느 정도 늘어난 후에도 프랜차이즈 물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지 살펴봐야 한다"며 "가맹점주를 제대로 교육시켜줄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지 챙겨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한식 세계화에 대해 관심이 높다. 그는 "본죽 외에도 본비빔밥, 본국수대청, 본우리덮밥까지 4개 한식 브랜드를 강화해 2015년까지 국내외 5000개 가맹점을 만들고자 한다"며 "해외 진출로 세계적인 한식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현재 1100여 개인 본죽 가맹점을 2015년까지 1200개로 확대하고, 일본을 타깃 지역으로 삼아 출점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본비빔밥은 `웰빙 다이어트식`으로 미국을 중심으로 해외 전역에 진출한다는 복안이다. [최승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