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d푸른하늘b 2010. 1. 26. 11:27

★ 예제1 (조조할인 티켓 구매의 경제원리)

다음은 소설을 좋아하는 소현이 오늘 겪은 일이다. 경제원리로 설명할 때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소설 `키다리 아저씨`를 원작으로 한 영화가 개봉됐다. 소현은 당장 극장에서 볼까 아니면 몇 달 후 DVD로 나오면 구매할까 고민하다 극장에 가기로 했다. 그런데 근처 극장을 찾아보니 키다리 아저씨 한 편을 보기 위해 1만2000원을 지불해야 하는 1관과 키다리 아저씨와 SF 영화를 동시상영하면서 1만7000원을 지불해야 하는 2관이 있었다. 소현은 2관 티켓을 조조할인으로 2000원 싸게 구매한 후 시간이 없어 빵으로 아침식사를 해결했다. 그런데 극장 내 음식물 반입이 금지돼 있어 극장 내부에서는 근처 편의점보다 두 배 정도 비쌌다.

ㄱ. 동시상영 영화관은 일종의 묶음가격(bundle price)을 제공하고 있으니 가격 차별을 하고 있다.

ㄴ. 극장 외부에서 음식물을 반입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밖에서 들여온 음식물로 쓰레기가 많아져 관람객에게 불쾌감을 줄까봐 취해진 조치로 일종의 음(-)의 외부효과를 줄이기 위한 행위다.

ㄷ. 소현은 조조할인 티켓을 구매한 걸로 볼 때 키다리 아저씨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 중에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아주 높은 사람이다.

ㄹ. 소현은 DVD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지 못한 걸 볼 때 다른 사람보다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할 경우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액이 높은 편이다.

ㅁ. 극장은 음식물 반입을 금지하고 있으니 일종의 인위적 진입장벽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경쟁을 위협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

① ㄱ,ㄴ,ㄷ ② ㄱ,ㄹ,ㅁ ③ ㄴ,ㄹ,ㅁ ④ ㄱ,ㄴ,ㅁ ⑤ ㄷ,ㄹ,ㅁ

▶해설

소현이 조조할인 티켓을 구매한 걸 보면 다른 시간의 티켓을 구매한 사람에 비해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높은 건 사실이나 키다리 아저씨 DVD가 대여점에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사람에 비해서는 수요 가격탄력성이 낮으므로 가격탄력성이 높은 사람으로 분류하기는 어렵다. 극장에서 음식물을 반입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일종의 인위적인 진입장벽을 행사하는 것이며, 극장 내부에서 음식물 판매를 허용하고 있으므로 극장 내부의 환경이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처사는 아니다. 정답은 ②.

★ 예제2 (치약등 생필품의 가격탄력성)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면?

ㄱ. 가격 변화율 1%에 대해 수요량 변화율이 몇 %인지를 수량화한 개념이다.

ㄴ. 독점기업은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높은 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을 책정하는 것이 판매수입을 증가시키는 데 유리하다.

ㄷ. 치약시장 전체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낮지만 개별 치약의 가격탄력성은 높을 수 있다.

ㄹ. 똑같은 상품이라 하더라도 단기와 장기를 비교할 때 단기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더 작다.

ㅁ.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상의 어떤 점에서 측정해도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동일하다.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ㄴ, ㅁ ⑤ ㄱ, ㅁ

▶ 해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로 가격 1%가 변화할 때 수요량이 몇 %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수요곡선 위의 어떤 점에서 탄력성을 측정하느냐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우하향하는 직선의 경우 모든 점에서 기울기는 동일하지만 수량과 가격이 달라지므로 수요량이 많을수록 수량은 크고, 가격은 낮아 탄력성의 크기는 작아진다. 탄력성의 크기는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우선 재화의 범위를 좁힐수록 가격탄력성은 커진다. 치약은 생필품이므로 가격탄력성이 낮은 재화이지만 개별 브랜드의 치약은 대체재가 많으므로 가격탄력성이 높아진다.

고려되는 기간에 따라서도 탄력성은 달라지는데 단기보다 장기에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높아진다. 장기에는 소비자가 가격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탄력성은 판매수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가격탄력성이 높다는 것은 가격을 올리면 수요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판매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가격탄력성이 높은 시장에서는 가격탄력성이 낮은 시장보다 더 낮은 가격을 책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은 ④.

[김현숙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