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 TEST]예제 풀어보세요

d푸른하늘b 2010. 3. 19. 01:52
★ 예제1 / 소비자물가는 장바구니 물가와 왜 다를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실제로 일반 사람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 상승률과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소비자물가지수의 품목은 체감물가와 관련된 재화의 품목보다 훨씬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② 소비자물가지수 기준연도의 지출 품목과 현재의 지출 품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③ 소비자물가지수에 편입되어 있는 재화의 품목 구성이 특정한 개인의 지출 품목과 다르기 때문이다.

④ 소비자물가지수는 실생활과 관련된 품목으로 구성된 장바구니 물가에 비해 불완전한 지표이기 때문이다.

⑤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품목에 대한 가중치가 특정한 개인의 관심 가중치와 다르기 때문이다.



▶▶ 해 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물가 상승률의 가장 대표적인 지표로서 일반 가계의 생활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통계지표다. 가장 최근(2005년) 기준의 소비자물가지수는 평균적인 도시 가계가 지출하는 489개 주요 품목을 선정하고 지출금액을 기초로 가중치를 부여해 물가 상승률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체감 물가 상승률과 괴리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이유로는 먼저 소비자물가지수의 품목은 체감물가(장바구니 물가)와 관련된 품목보다 훨씬 광범위하다는 점과 기준연도의 지출 구성에 비해 현재의 지출 구성이 달라졌을 경우 소비자물가지수가 생활비의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평균적인 도시 가계의 지출 품목이 개인의 지출 품목과 다르거나 가중치가 다를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될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물가지수가 장바구니 물가에 비해 불완전한 지표라고 말할 수는 없다. 정답은 ④.



★ 예제2 /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는



필립스 곡선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가. 합리적 기대의 경우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희생률은 작아진다.

나.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이 낮은 시기에는 인플레이션율도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밝힌 것이다.

다. 자연실업률 가설에 따르면 장기에서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사이에 양의 관계가 존재한다.

라.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려 할 때의 희생률은 적응적 기대의 경우보다 합리적 기대의 경우에 더 작아진다.



① 가, 다② 나, 라③ 가, 라④ 나, 다⑤ 가, 나, 다



▶▶ 해 설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사이의 단기적 상충 관계를 서술한 것으로서 정책 당국자가 낮은 인플레이션과 낮은 실업률이라는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자연실업률 가설에 따르면 장기에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사이에 상충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는 반인플레이션 정책을 수행하면 과거의 인플레이션율이 향후 계속될 것으로 기대하는 적응적 기대의 경우보다 모든 이용 가능한 정보를 반영하는 합리적 기대의 경우에 실업률 상승 또는 경기 침체 정도가 약하게 나타난다. 즉 희생률이 작게 된다.

또한 정부가 반인플레이션 정책을 시행할 때 이를 신뢰하여 기대 인플레이션을 빨리 조정할수록 합리적 기대하에서 실업률의 상승은 작아진다. 정답은 ③.

[곽노선 교수 서강대 경제학과]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