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 TEST]예제 풀어보세요
d푸른하늘b
2010. 4. 16. 05:10
■기업보유 금융자산의 회계처리
◆ 예제1
= 기업이 보유한 금융자산의 회계처리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만기보유 금융자산은 만기 시까지 취득원가로 보고한다.
② 단기매매 금융자산은 매매주기가 짧아 매도 시까지 취득원가로 표시한다.
③ 매도가능 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평가하고 평가손익을 대차대조표 자본항목에 반영한다.
④ 관계기업 투자주식은 보유기간 중 시가로 평가하며 별도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⑤ 증권형 금융자산은 피투자기업의 발행주식 중 50% 이상을 취득한 경우 관계기업투자주식으로 구분한다.
■해설■
기업이 보유한 금융자산은 보유 목적에 따라 장단기 투자 목적인 소극적 투자대상 금융자산과 타 기업의 지배가 목적인 적극적 투자대상 금융자산으로 구분된다. 소극적 투자대상으로 취득한 금융자산은 (1)단기매매를 통한 시세차익을 얻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단기매매 금융자산, (2)해당 금융자산을 만기까지 보유할 의도가 있는 채무형 금융자산인 만기보유 금융자산, 그리고 (3)기타 소극적 투자대상인 매도가능 금융자산으로 분류된다.
단기매매 금융자산이나 매도가능 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평가한다. 만기보유 금융자산은 취득원가로 계상하고 액면가액과 취득금액이 다른 경우에는 그 차액을 유효이자율법에 의해 상각하여 취득원가에 상각액을 가감한 금액을 보고한다.
적극적 투자대상으로 보유한 피투자기업의 주식은 관계기업투자주식으로 분류하며, 일반적으로 지분율 20% 이상을 보유하면 적극적 투자대상으로 간주한다.
관계기업투자주식은 피투자기업의 순자산 변동에 따라 보유주식의 평가금액을 가감하는 지분법으로 회계처리하며 평가손익은 손익계산서에 보고한다. 만일 피투자기업의 의결권 주식 중 50% 이상을 보유한 경우에는 투자기업과 피투자기업을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하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한다. 정답은 ③.
■전략적 원가관리 기법 아세요
◆ 예제2
= 전략적 원가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타당한 것을 고르면?
ㄱ. 전사적 품질관리(TQM)는 적정 수준에서 불량률을 허용하는 것을 전제한다.
ㄴ. 적시생산시스템(JIP)은 필요 시점에 필요 제품만을 생산하여 재고를 최소화한다.
ㄷ. 제약이론은 장기적으로 전체 공정을 병목공정 속도에 맞추어 재고를 줄이는 노력과 관련된 이론이다.
ㄹ. 제품수명주기원가계산은 제품수명 단계 중 원가가 85%가량 확정되는 설계 단계까지 의사결정을 집중 관리한다.
ㅁ. 목표원가에 의한 관리는 신제품 개발 시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에서 기업 목표이익을 차감한 목표원가를 설정해 관리하는 방법이다.
① ㄱ, ㄴ, ㄷ② ㄱ, ㄹ, ㅁ③ ㄱ, ㄷ, ㄹ④ ㄴ, ㄷ, ㅁ⑤ ㄴ, ㄹ, ㅁ
■해설■
전략적 원가관리 기법으로는 적시생산시스템, 전사적 품질관리, 제약이론, 제품수명주기원가계산, 목표원가계산 등이 있다. 적시생산시스템은 재고 유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재고 수준을 낮추는 방법을 모색한다.
전사적 품질관리는 예방평가원가에 비하여 그 규모가 급속히 커진 내외부 실패원가에 주목한다. 특히 적정 불량률 개념에서 벗어나 무결점주의를 추구하여 이를 위해 예방평가활동에 집중한다.
제약이론 관점에서는 병목공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전 공정을 병목공정 속도에 맞추는 노력을 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병목공정 처리능력을 확충하여 기업 전체 생산능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한다.
제품수명주기원가계산은 제품 기획에서 개발, 설계, 생산, 마케팅, 유통, 고객서비스, 폐기처분까지 전 수명주기에 걸친 발생원가를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표원가에 의한 관리는 생산단계 이전에 목표원가 수준을 미리 기획하는 원가기획 방법이다. 정답은 ⑤.
[유승원 교수 고려대 경영학과]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예제1
|
||
① 만기보유 금융자산은 만기 시까지 취득원가로 보고한다.
② 단기매매 금융자산은 매매주기가 짧아 매도 시까지 취득원가로 표시한다.
③ 매도가능 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평가하고 평가손익을 대차대조표 자본항목에 반영한다.
④ 관계기업 투자주식은 보유기간 중 시가로 평가하며 별도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⑤ 증권형 금융자산은 피투자기업의 발행주식 중 50% 이상을 취득한 경우 관계기업투자주식으로 구분한다.
■해설■
기업이 보유한 금융자산은 보유 목적에 따라 장단기 투자 목적인 소극적 투자대상 금융자산과 타 기업의 지배가 목적인 적극적 투자대상 금융자산으로 구분된다. 소극적 투자대상으로 취득한 금융자산은 (1)단기매매를 통한 시세차익을 얻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단기매매 금융자산, (2)해당 금융자산을 만기까지 보유할 의도가 있는 채무형 금융자산인 만기보유 금융자산, 그리고 (3)기타 소극적 투자대상인 매도가능 금융자산으로 분류된다.
단기매매 금융자산이나 매도가능 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평가한다. 만기보유 금융자산은 취득원가로 계상하고 액면가액과 취득금액이 다른 경우에는 그 차액을 유효이자율법에 의해 상각하여 취득원가에 상각액을 가감한 금액을 보고한다.
적극적 투자대상으로 보유한 피투자기업의 주식은 관계기업투자주식으로 분류하며, 일반적으로 지분율 20% 이상을 보유하면 적극적 투자대상으로 간주한다.
관계기업투자주식은 피투자기업의 순자산 변동에 따라 보유주식의 평가금액을 가감하는 지분법으로 회계처리하며 평가손익은 손익계산서에 보고한다. 만일 피투자기업의 의결권 주식 중 50% 이상을 보유한 경우에는 투자기업과 피투자기업을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간주하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한다. 정답은 ③.
■전략적 원가관리 기법 아세요
◆ 예제2
= 전략적 원가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타당한 것을 고르면?
ㄱ. 전사적 품질관리(TQM)는 적정 수준에서 불량률을 허용하는 것을 전제한다.
ㄴ. 적시생산시스템(JIP)은 필요 시점에 필요 제품만을 생산하여 재고를 최소화한다.
ㄷ. 제약이론은 장기적으로 전체 공정을 병목공정 속도에 맞추어 재고를 줄이는 노력과 관련된 이론이다.
ㄹ. 제품수명주기원가계산은 제품수명 단계 중 원가가 85%가량 확정되는 설계 단계까지 의사결정을 집중 관리한다.
ㅁ. 목표원가에 의한 관리는 신제품 개발 시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에서 기업 목표이익을 차감한 목표원가를 설정해 관리하는 방법이다.
① ㄱ, ㄴ, ㄷ② ㄱ, ㄹ, ㅁ③ ㄱ, ㄷ, ㄹ④ ㄴ, ㄷ, ㅁ⑤ ㄴ, ㄹ, ㅁ
■해설■
전략적 원가관리 기법으로는 적시생산시스템, 전사적 품질관리, 제약이론, 제품수명주기원가계산, 목표원가계산 등이 있다. 적시생산시스템은 재고 유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재고 수준을 낮추는 방법을 모색한다.
전사적 품질관리는 예방평가원가에 비하여 그 규모가 급속히 커진 내외부 실패원가에 주목한다. 특히 적정 불량률 개념에서 벗어나 무결점주의를 추구하여 이를 위해 예방평가활동에 집중한다.
제약이론 관점에서는 병목공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전 공정을 병목공정 속도에 맞추는 노력을 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병목공정 처리능력을 확충하여 기업 전체 생산능력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한다.
제품수명주기원가계산은 제품 기획에서 개발, 설계, 생산, 마케팅, 유통, 고객서비스, 폐기처분까지 전 수명주기에 걸친 발생원가를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표원가에 의한 관리는 생산단계 이전에 목표원가 수준을 미리 기획하는 원가기획 방법이다. 정답은 ⑤.
[유승원 교수 고려대 경영학과]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