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제1, 마트서 묶음치약 왜 더 쌀까
마트에 치약을 사러 간 지혜는 치약을 낱개로 파는 경우보다 네 개 묶음으로 파는 치약의 개당 가격이 더 낮은 것을 보고 경제 교과서에서 배운 가격차별을 떠올렸다. 다음 중 가격차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ㄱ. 독점기업이 가격차별을 하면 소비자 잉여는 감소한다.
ㄴ. 완전가격차별하에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은 평균수입곡선이다.
ㄷ.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기업은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더 높은 소비자에게 더 낮은 가격을 책정한다.
ㄹ. 가격차별이 없을 경우와 비교하여 독점기업이 완전가격차별을 시행하면 자원배분의 효율성은 더 악화된다.
ㅁ. 가격차별을 할 경우 일부 소비자는 단일가격을 책정하는 독점의 경우보다 더 낮은 가격에 재화를 구매할 수 있다.
①ㄱ, ㄷ ②ㄴ, ㄹ ③ㄴ, ㅁ ④ㄱ, ㄹ ⑤ㄷ, ㅁ
▶ 해설
같은 상품에 가격을 달리 정하는 가격차별에는 크게 세 종류가 있다.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 수준에 맞추어 서로 다른 가격을 책정하는 1급 가격차별(완전가격차별), 구매하는 수량에 따라 가격에 차별을 두는 2급 가격차별,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역비례하여 가격을 책정하는 3급 가격차별이 존재한다. 모든 가격차별은 생산자 잉여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가격차별이 시행되면 전체 소비자 잉여는 감소하게 된다.
독점기업이 완전가격차별을 시행하면 시장균형판매량은 단일가격하의 독점에 비해 증가하여 수요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이 만나는 점까지 생산량이 증가한다.
완전가격차별은 소비자 잉여가 모두 생산자 잉여로 이전되는 분배 문제를 일으키지만 동시에 독점으로 인해 발생한 사중손실(deadweight loss)을 제거하여 사회 전체의 잉여는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효율성은 증가한다. 정답은 ②
■ 예제2, 남녀 데이트에도 내시균형이?
상대방의 특정 전략에 대해 자신에게 최선의 보수를 제공하는 전략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균형을 내시균형(Nash Equilibrium)이라고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ㄱ. 내시균형은 반드시 한 개만 존재한다.
ㄴ. 카르텔을 둘러싼 게임을 반복하게 되면 협정을 준수하는 전략이 내시균형이 될 수 있다.
ㄷ. 용의자 딜레마 게임에서 두 용의자가 모두 자백하는 것은 우월전략균형(dominant strategy equilibrium)이지 내시균형은 아니다.
ㄹ. 참여자 모두에게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선택하느냐에 관계없이 자신에게 더 유리한 결과를 주는 전략이 존재할 때 그 전략을 참여자 모두가 선택하면 내시균형이 달성된다.
① ㄱ, ㄷ ② ㄴ,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해설
상대방의 특정 전략에 대해 최선의 선택을 하게 되면 서로가 자신의 선택전략을 바꾸지 않은 균형상태를 내시균형이라 한다. 만약 상대방의 전략과 관계없이 항상 더 높은 보수를 제공하는 우월전략이 존재한다면 이는 당연히 상대방의 특정 전략에 대해 자신에게 최선의 보수를 제공하는 전략이므로 내시균형 전략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용의자 딜레마 게임에서 두 용의자 모두가 자백하는 것은 우월전략균형이면서 동시에 내시균형이다.
성 대결(battle of sex)과 같이 데이트를 하는 남녀가 각자 선호하는 공연을 따로 보는 것보다 동일한 공연을 함께 보러 가게 되면 둘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게임에서는 복수의 내시균형이 존재할 수 있다. 정답은 ①
[김현숙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ㄱ. 독점기업이 가격차별을 하면 소비자 잉여는 감소한다.
ㄴ. 완전가격차별하에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은 평균수입곡선이다.
ㄷ.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기업은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더 높은 소비자에게 더 낮은 가격을 책정한다.
ㄹ. 가격차별이 없을 경우와 비교하여 독점기업이 완전가격차별을 시행하면 자원배분의 효율성은 더 악화된다.
ㅁ. 가격차별을 할 경우 일부 소비자는 단일가격을 책정하는 독점의 경우보다 더 낮은 가격에 재화를 구매할 수 있다.
①ㄱ, ㄷ ②ㄴ, ㄹ ③ㄴ, ㅁ ④ㄱ, ㄹ ⑤ㄷ, ㅁ
▶ 해설
같은 상품에 가격을 달리 정하는 가격차별에는 크게 세 종류가 있다.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 수준에 맞추어 서로 다른 가격을 책정하는 1급 가격차별(완전가격차별), 구매하는 수량에 따라 가격에 차별을 두는 2급 가격차별,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역비례하여 가격을 책정하는 3급 가격차별이 존재한다. 모든 가격차별은 생산자 잉여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가격차별이 시행되면 전체 소비자 잉여는 감소하게 된다.
독점기업이 완전가격차별을 시행하면 시장균형판매량은 단일가격하의 독점에 비해 증가하여 수요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이 만나는 점까지 생산량이 증가한다.
완전가격차별은 소비자 잉여가 모두 생산자 잉여로 이전되는 분배 문제를 일으키지만 동시에 독점으로 인해 발생한 사중손실(deadweight loss)을 제거하여 사회 전체의 잉여는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효율성은 증가한다. 정답은 ②
■ 예제2, 남녀 데이트에도 내시균형이?
상대방의 특정 전략에 대해 자신에게 최선의 보수를 제공하는 전략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균형을 내시균형(Nash Equilibrium)이라고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ㄱ. 내시균형은 반드시 한 개만 존재한다.
ㄴ. 카르텔을 둘러싼 게임을 반복하게 되면 협정을 준수하는 전략이 내시균형이 될 수 있다.
ㄷ. 용의자 딜레마 게임에서 두 용의자가 모두 자백하는 것은 우월전략균형(dominant strategy equilibrium)이지 내시균형은 아니다.
ㄹ. 참여자 모두에게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선택하느냐에 관계없이 자신에게 더 유리한 결과를 주는 전략이 존재할 때 그 전략을 참여자 모두가 선택하면 내시균형이 달성된다.
① ㄱ, ㄷ ② ㄴ,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해설
상대방의 특정 전략에 대해 최선의 선택을 하게 되면 서로가 자신의 선택전략을 바꾸지 않은 균형상태를 내시균형이라 한다. 만약 상대방의 전략과 관계없이 항상 더 높은 보수를 제공하는 우월전략이 존재한다면 이는 당연히 상대방의 특정 전략에 대해 자신에게 최선의 보수를 제공하는 전략이므로 내시균형 전략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용의자 딜레마 게임에서 두 용의자 모두가 자백하는 것은 우월전략균형이면서 동시에 내시균형이다.
성 대결(battle of sex)과 같이 데이트를 하는 남녀가 각자 선호하는 공연을 따로 보는 것보다 동일한 공연을 함께 보러 가게 되면 둘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게임에서는 복수의 내시균형이 존재할 수 있다. 정답은 ①
[김현숙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일반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TEST]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4.06 |
---|---|
[매경TEST]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4.02 |
[매경 TEST]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3.19 |
[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3.16 |
[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