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 |||||||||
◆ 기업의 글로벌제휴 사례와 효과
| |||||||||
■ 해설 Volkswagen 사례는 진출 대상국의 규제 장벽을 넘기 위해 현지 기업과 합작을 추진한 경우다. GM과 Toyota의 합작투자는 막대한 자본지출을 수반하는 자동차산업에서 양사간 공조를 통해 투자위험을 감소시킨 경우다. Siemens, Toshiba, IBM은 신기술 경쟁이 치열한 DRAM 분야에서 신제품을 공동으로 개발한 뒤 각 파트너가 강점을 갖고 있는 자국 시장에 빠르게 출시하는 전략을 취했다. JVC의 VHS는 Sony의 Beta에 비해 기술적으로 뛰어나지 못했지만 JVC는 VHS 방식을 기반으로 비디오 테이프를 제작하려는 기업들과 개방적인 라이선싱 계약을 맺음으로써, 산업표준화 경쟁에서 Sony를 이길 수 있었다. Corning은 한때 주력이었던 TV 브라운관 사업이 사양기에 접어들자, 이 사업을 Asahi와의 합작투자 형태로 일단 전환해 놓고 향후 저개발국 등에서 수요가 증대될 경우 이 사업에 대한 투자를 다시 늘리기로 했다. 합작법인을 설립하면 파트너와의 공동경영 체제로 바뀌게 되므로 자사의 통제력은 약화된다. 답은 ② ◆ 금융위기후 기업의 승자독식 추세
| |||||||||
■ 해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목격되고 있는 시장지배력 집중 경향에 관한 사고력을 묻는 문제. 화장품, 음식료, 중장비 등 많은 산업에서 소비자는 자신에게 생소한 제품을 새로 구매하기보다 익숙한 제품을 반복 구매하는 경향이 있어 시장점유율이 높은 제품일수록 또다시 선택될 가능성이 높다. 선도기업은 또한 금융권으로부터의 신뢰, 공급업체에 대한 교섭력, 제품 단위당 마케팅 비용 감소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높은 수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도 갖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절대적인 시장지배력을 갖고 있다고 해서 제품이나 공정 혁신도 적은 비용으로 추구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예컨대 기존 고객 기반을 믿고 의존한 나머지 전통적인 개념을 깨는 혁신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기업들에 역전당하는 사례가 종종 생긴다. 당분간 승자독식이 심화될지언정 영원한 승자가 있기는 어려운 것이다. 답은 ③ [카이스트 경영대 이지환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제&일반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09.11.26 |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09.11.25 |
■ 최근 가격결정 트렌드 ‘극단적 전략’ (0) | 2009.11.10 |
데이터로 미래 예측? 제발 착각하지 말라 ! [탈레브의 블랙스완] (0) | 2009.10.30 |
[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0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