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제1 [환율과 주가의 관계] 환율과 주가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유량모형(flow model)에 근거한 전통적 접근법에 따르면 환율변동이 주가변동을 가져온다. ② 환율변동은 수출기업과 수입기업에 따라 각각 다른 영향을 미쳐 주가변동을 가져온다. ③ 포트폴리오 접근법에 따르면 주가의 변동이 환율의 변동을 초래한다. ④ 유량모형에 근거한 포트폴리오 접근법은 단기에 물가가 경직적이라는 가정을 도입한다. ⑤ 개방경제하에서 환율변동은 다국적 기업의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국내기업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해설 최근 버냉키 FRB 의장의 연설에 관심이 쏠리면서 원ㆍ달러 환율이 추가로 절상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아시아 국가의 엄청난 경상수지 흑자가 글로벌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보고 미국이 완화해달라고 요구할 것이란 전망이다. 경상수지는 민간저축, 투자수요 그리고 조세수입과 정부지출의 차이인 정부저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민간저축 및 정부저축의 증가는 경상수지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투자수요 증가는 민간저축, 정부저축 또는 경상수지의 적자에 반영될 수 있다. 재정수지 적자는 경상수지 적자를 초래할 수 있으며 민간저축과 정부저축의 증가는 투자수요에 반영될 수 있다. 정답은 ④ ■ 예제2 [경상수지의 결정요인] 올해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4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상수지의 결정요인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을 고르면. ① 민간저축 증대는 경상수지를 개선시킬 수 있다. ② 투자수요 증가는 민간저축, 정부저축 또는 경상수지의 악화에 반영될 수 있다. ③ 정부지출 증가는 재정수지와 경상수지를 함께 악화시킬 수 있다. ④ 정부저축 증가는 투자수요에 반영될 수 없다. ⑤ 민간저축 증가는 투자수요에 반영될 수 있다. ▶해설 환율과 주가는 깊은 관련성을 지니면서 변동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주가 하락과 원ㆍ달러 환율의 상승 또는 주가의 상승과 환율의 하락이 동시에 나타나는데, 이와 같은 관계는 금융시장의 자유화 및 개방화 이후 더욱 심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환율결정이론인 전통적 접근방법과 포트폴리오 접근방법은 각각 유량(flow) 개념과 저량(stock) 개념에 근거하고 있으며, 전통적 접근방법은 환율변동이 관련 기업의 수출과 수입에 상이한 영향을 미쳐 해당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포트폴리오 접근법은 단기에 물가가 경직적이며, 장기에 물가가 신축적이라는 케인스 가정을 도입하고 있다. 정답은 ④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제&일반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자 [폴 새뮤얼슨] 교수 타개 (0) | 2009.12.17 |
---|---|
최진기의 생존경제 {수정판} (0) | 2009.12.09 |
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09.11.26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09.11.25 |
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09.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