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l Summer] 색다른 여름추억 오토캠핑 떠나볼까 | ||||||||||||||||||
쏟아지는 별빛 이불삼아 … 모닥불 둘러앉아 도란도란 … | ||||||||||||||||||
| ||||||||||||||||||
바야흐로 휴가철이다. 더위를 피해 어딘가로 떠날 생각만 해도 가슴이 설렌다. 하지만 불경기로 가벼워진 호주머니 탓에 올여름에는 남국의 뜨거운 태양과 하얀 파도를 감상하는 게 부담스럽다. 국내로 눈을 돌린다고 해도 호텔이나 리조트에 머무르자니 2% 부족한 느낌이다. 이런 가운데 `오토캠핑`이 새롭게 뜨고 있다. 캠핑카 대여 업체들이 속속 생겨나는가 하면 캠핑카에 전기ㆍ수도ㆍ가스 등을 공급해 야영할 수 있는 `전문 오토캠핑장`까지 등장하고 있다. 자동차에 텐트, 취사도구 등을 싣고 떠나는 오토캠핑이 원시적인 의미의 `1세대 캠핑`이라면 이제는 전문 캠핑카를 타고 여행을 떠나는 본격적인 2세대 오토캠핑 시대가 열리고 있다. `집 떠나면 고생`이라는 말도 구시대 발상이다. 이제 캠핑카는 그야말로 움직이는 호텔이다. 위성 안테나를 활용한 TV는 기본. 침대, 주방과 함께 정감 어린 대화까지 나눌 수 있는 응접실도 갖추고 있다. 이게 다가 아니다. 노래방 기계는 물론 냉장고, 화장실까지 모든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캠핑카 중 가장 흔한, 영화에도 종종 등장하는 유형은 `일체형 캠핑카`다. 보통 화물차나 승합차를 개조해 만든 일체형 캠핑카는 어디든지 떠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주차 문제도 적다. 가격이 비싼 것은 단점으로 꼽힌다. 보통 7000만원부터 1억원이 넘는 초호화판 `이동식 주택`도 있다. 이 때문에 직접 구입하기보다는 전문업체에서 빌려 쓰는 편이 낫다.
좀 더 쾌적한 캠핑을 위해서는 몇 가지 장비가 추가로 필요하다. 먼저 타프(그늘막)는 오토캠핑 시 기본 장비로 꼽힌다. 타프는 뜨거운 햇빛을 막아줄 뿐 아니라 우천 시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품을 구입할 때는 활동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특히 폴(지지대)의 높이가 활동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높아야 한다. 또 초보자라도 어려움 없이 설치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야외에서 분위기 있는 식사를 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세트가 필수다. 너무 비싼 것을 구입할 필요는 없고 10만~20만원대에서 품질이 좋은 것을 고르도록 한다. 만약 임차하려는 캠핑카에 바비큐 장비가 없다면 직접 구매하는 것도 휴가 시 즐거움을 더하는 방법이다. 코오롱스포츠(www.kolonsport.co.kr)를 비롯해 콜맨코리아(www.coleman.co.kr) 코베아(www.kovea.co.kr) 등이 오토캠핑용 장비를 다수 내놓고 있다.
장소까지 확정했다면 준비 끝. 이제 휴가 일정에 맞춰 목적지로 떠나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스스로 즐기는 여행`이라고 해서 모든 부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오토캠핑장 역시 일종의 공공장소인 만큼 모두를 위해 지켜야 할 규칙이 있다. 먼저 차량 운행에 주의해야 한다. 캠핑장 내에서는 소음과 매연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공회전은 피한다. 또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급발진이나 급제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모닥불은 캠핑장에 설치된 화로대에서만 피우도록 한다. 마무리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다 피운 모닥불은 완전히 꺼서 땅에 파묻도록 한다. 오토캠핑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오토캠핑`(www.autocamping.co.kr), `캠핑하는 사람들`(cafe.daum.net/campingpeople) 등 인터넷 동호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토캠핑 가이드에서부터 캠핑장, 캠핑용품 리뷰 등 여러 가지 유용한 정보가 많다. [이명진 기자 / 조효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갯벌을 세계적 관광테마로 만들어 [엘도라도 리조트] (0) | 2009.07.16 |
---|---|
[바캉스 특집]엄마 아빠 손잡고 체험학습 출발∼ (0) | 2009.07.13 |
추억의 놀이 [뱀 주사위 게임을 아시나요....?] (0) | 2009.07.02 |
우리 아이 여름캠프 어디로 보낼까 ? (0) | 2009.06.19 |
[기타]돈 버는 60가지의 지혜 (0) | 200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