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제1: 신규창업 성공의 비결은
신규 창업은 기업가 자신의 성취는 물론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새로운 가치 창출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 다음 중 신규로 회사를 창업하여 성공하는 데 필요한 요소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판매하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잠재 고객이 존재해야 한다.
② 사업의 구체화와 전개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인맥이 있어야 한다.
③ 사업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는 동업자가 있어야 한다.
④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기술이나 노하우를 갖고 있거나 살 수 있어야 한다.
⑤ 사업에 필요한 자본을 보유하고 있거나 외부에서 조달할 수 있어야 한다.
▶ 해설
|
||
이지환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교수 | ||
동업자들과 팀을 이뤄 창업을 하면 자본이나 역량을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통제력 분산이나 의사결정 지연과 같은 단점도 있으므로 공동 창업을 반드시 성공 요인으로 보기는 어렵다. 현대와 같은 자유경쟁 시장에서, 그것도 신생기업이 성장 기틀을 마련하려면 기술이나 노하우와 같은 경쟁력 원천의 확보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기업가가 자체적으로 창업 자본을 마련할 수 없더라도 금융회사나 엔젤투자자 등을 통해 외부에서 조달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다. 정답은 ③
◆ 예제2: 글로벌기업의 윤리경영 도입 이유
후발개도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의 임직원들은 아래의 예처럼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선택을 하게 되는 상황을 맞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한다. 이 같은 상황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 현지 밀수 조직이 출자했지만 기존 거래 업체에 비해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업체와 원자재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 생계수단이 없는 아이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명분으로 11세 소녀를 현지 신발 공장에 고용하기로 했다.
① 진출 대상국 정부의 규제 완화
② 회사가 요구하는 과도한 성과 목표
③ 본국과 진출 대상국 경제 수준의 커다란 격차
④ 현지법인의 자본금 증자
⑤ 현지법인에 대한 최고경영진의 지대한 관심
▶ 해설
기업의 어떤 행위가 윤리적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종종 명확한 잣대가 존재하지 않는 예가 많다. 더구나 기업이 후진국에 진출하는 경우에는 본국과 진출 대상국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윤리적 기준이 달라 윤리적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수 조직의 자본으로 설립된 회사라도 해당 기업이 직접 불법을 자행하지 않으면 그 기업과 거래 관계를 맺는 것은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생계수단을 제공한다는 명분으로 유아 노동 착취를 정당화할 가능성도 있다. 기업에서 임직원에게 무리한 성과 목표를 제시하면 임직원들이 경제적 목표를 지나치게 우선한 탓에 나중에 윤리적 문제가 발생돼 기업의 사회적 평판을 떨어뜨릴 수 있는 판단을 할 소지가 있다. 정답은 ②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일반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5.14 |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5.04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4.27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4.20 |
[매경 TEST]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