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d푸른하늘b 2010. 5. 4. 11:04

■ 물가상승 감안때 실질금리는?

◆ 예제1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하면서 실질금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을 고르면?

① 실질금리와 명목금리는 상호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② 실질금리보다 명목금리가 실물투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③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예상물가상승률을 빼고, 실질경제성장률을 더한 것과 같다.

④ 경기 활황기에는 총수요 증가로 물가상승률이 높으므로 실질금리가 일시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

⑤ 경기 불황기에는 소비, 투자 등 경제 내 총수요 감소로 물가와 명목금리는 하락하나 실질금리는 반대로 상승한다.

◆ 해설

피셔방정식에 따르면 명목금리는 실질금리와 예상물가상승률의 합으로 표시된다.

즉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예상물가상승률을 뺀 것이다. 따라서 경기 회복기에 소비, 투자 등 총수요 증가로 물가가 상승하면 일시적으로 실질금리가 하락하는 현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일본은 명목금리가 매우 낮은 상황이므로, 경기 회복에 따른 물가 상승으로 일시적으로 실질금리가 음(-)이 될 수 있다.

한편 경기 불황기에는 총수요 감소로 물가와 명목금리가 하락하며, 실질금리도 투자의 한계수익률 감소로 하락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금리는 소비자의 시간선호율과 투자의 한계수익률 등 실질변수 등에 의존하고 있으나, 명목금리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는 물가상승률을 매개로 의존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

정답은 ④.



■ 저금리시대 채권투자 어떻게?

◆ 예제2

금리, 채권가격 및 대출자금시장 간의 관계 중 가장 옳지 않는 것은?

① 대출시장에서 금리가 상승하면 자금의 공급이 증가하여 대출자금의 공급곡선은 우상향한다.

② 채권가격의 하락은 채권의 수요량을 감소시킬 유인을 갖게 되어 채권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한다.

③ 채권의 가격은 금리와 반비례하기 때문에 금리상승은 채권의 가격을 떨어뜨려 채권의 수요를 증가시킨다.

④ 채권시장에서 채권가격의 상승은 채권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유인을 갖게 되어 채권의 공급곡선은 우상향한다.

⑤ 대출시장에서 금리가 하락하면 자금의 조달비용이 낮아져 수요가 증가하므로 대출자금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한다.

◆ 해설

금리의 상승은 채권의 현재가치를 떨어뜨리므로 금리와 채권가격은 반비례한다. 또한 자금의 수요자인 채권의 공급자는 금리의 상승에 따라 자금의 수요를 감소시켜 채권의 공급은 줄어든다. 따라서 금리의 상승은 채권의 공급이 감소하여 채권의 공급곡선은 우상향한다. 자금의 공급자인 채권의 수요자는 금리상승에 따라 자금공급을 증가시키므로 채권수요는 늘어나, 채권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게 된다.그리고 대출시장에서 자금수요자는 금리가 상승하면 자금조달비용이 높아 자금의 수요가 감소하므로 대출자금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하며, 자금공급자는 금리가 상승하면 예상수익률이 높아 자금공급이 늘어나므로 대출자금의 공급곡선은 우상향하게 된다. 정답은 ②.

[김영재 부산대 경제학과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