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 TEST]예제 풀어보세요

d푸른하늘b 2010. 6. 22. 11:40
★ 예제1 : 매출수익률 높이기와 박리다매 전략

다음 보기는 한 중견 기업의 A사업부와 B사업부 영업상태를 요약한 표다. 두 사업부 경영성과를 평가하는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A사업부가 B사업부에 비하여 투자수익률이 낮다.

② A사업부가 B사업부에 비하여 매출총이익이 높다.

③ A사업부는 B사업부에 비하여 박리다매 영업을 하고 있다.

④ A사업부가 B사업부에 비하여 이익마진율을 나타내는 매출수익률이 높다.

⑤ A사업부가 B시업부에 비하여 자산수익률을 나타내는 자산회전률이 낮다.

▶▶ 해 설

투자중심점의 평가방법 중 하나인 투자수익률은 일반적으로 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이러한 투자수익률은 2개의 재무비율로 구분하여 매출수익률과 총자산회전률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매출수익률은 매출액을 기준으로 이익 규모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이익마진을 나타낸다. 반면에 총자산회전율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이 매출 창출에 기여하는 정도를 표시하게 된다. A사업부는 B사업부에 비하여 매출수익률은 높은 반면 총자산회전율이 낮게 나타난다.

그 결과로 A사업부 투자수익률은 B사업부에 비하여 낮게 평가된다. 따라서 B사업부는 A사업부에 비하여 이익 마진은 적은 반면 총자산 대비 매출 규모가 큰 박리다매형 영업전략을 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A사업부 투자수익률을 높이는 방안으로는 B사업부와 같이 박리다매형 영업전략으로 전환을 하거나 혹은 매출수익률을 지금보다 더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정답은 ③

★ 예제2 : 달라진 재무제표 용어 이해하기

기업의 재무제표에 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목적은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재무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ㄴ. 자본변동표는 해당 기간에 채권자 지분ㆍ소유주 지분 변동을 상세히 보여준다.

ㄷ. 재무상태표(혹은 대차대조표)는 기업이 해당 기간에 수행한 수익창출 활동의 결과를 요약ㆍ보고하는 재무제표다.

ㄹ. 포괄손익계산서는 해당 기간 중 재무 성과를 보고하는 재무제표며, 특히 이해관계자에게 유용한 순이익 정보를 제공한다.

ㅁ. 현금흐름표는 해당 기간 중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결과로 발생하는 현금흐름상 변동 내용을 보고하는 재무제표다.

① ㄱ,ㄴ,ㄷ ② ㄱ,ㄴ,ㄹ ③ ㄴ,ㄷ,ㅁ ④ ㄱ,ㄹ,ㅁ ⑤ ㄷ,ㄹ,ㅁ

▶▶ 해 설

재무제표는 기업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경제적 의사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그리고 주석 등 다섯 가지를 포함한다.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기말)에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 자본 등 구성내용을 표시하는 재무제표다.

이는 기업이 보유한 자원(자산)과 이러한 자원에 대한 채권자의 청구권리(부채, 채권자 지분) 그리고 주주의 청구권리(자본, 소유주 지분)를 표시하게 된다. 포괄손익계산서는 해당 기간(회계기간) 중 기업의 경영 성과, 즉 수익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제표다. 재화 혹은 용역 제공 등에 따른 수익창출 활동의 결과(수익)와 이러한 수익창출을 위하여 희생된 경제적 자원의 소비(비용)를 표시하여 순이익을 계산하게 된다. 정답은 ④

[고려대 경영대 유승원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