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 TEST]예제 풀어보세요

d푸른하늘b 2010. 6. 9. 01:59

◆환율이 급등락하는 까닭은

예제1 : 최근 우리나라는 심한 환율 변동을 경험하고 있다. 환율과 관련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면?

a. 변동환율제도 아래에서는 고정환율제도보다 더 많은 외환준비금이 필요하다.

b.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국내 이자율이 상승하는 경우 환율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c.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외국투자자들이 지속적으로 우리나라의 주식을 매각하는 경우 환율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d. 환율은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며,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요가 증가하면 환율은 상승(국내통화의 평가절하)한다.

e. 환율변동이 심할 때, 수출 및 수입 기업은 선물환거래를 통해 고정된 환율 아래에서 거래하여 환율변동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① a, b  ② b, c  ③ c, d  ④ a,e  ⑤ d, e

▶ 해설

외환의 수요가 증가하면 이에 따라 환율이 상승하고, 국내통화의 가치는 하락한다.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서 순매도를 하는 경우 국내 화폐로 돌려받은 투자금액을 외환으로 교환하고자 하는 외환수요가 증가하여 환율이 상승한다. 반면 국내 이자율이 상승하는 경우 우리나라에 투자할 때 수익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본유입이 일어나 외환의 공급이 증가하여 환율이 하락한다.

고정환율제도에서는 정부가 환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환율 변동을 고정시킬 수 있을 만큼의 외환준비금이 필요하다. 선물환거래는 외환의 매매계약일로부터 일정 기간 후 특정일에 계약시점에서 합의된 고정된 환율로 외환인도와 대금결제를 약정하는 거래로서 선물환율은 거래시점에서 미리 정해지기 때문에 환율변동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정답은 ①.



◆독점시장과 완전경쟁시장

예제2 : 독점시장과 완전경쟁시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단, 장기는 모든 투입요소가 변동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며, 단기는 적어도 한 가지 투입요소가 변동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a. 장기 완전경쟁시장의 균형생산량은 독점시장의 생산량보다 항상 크거나 같다.

b.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 두 경우 모두 한계비용과 한계수익이 같은 생산량에서 기업의 이윤이 극대화된다.

c. 단기 완전경쟁시장에서 가격이 평균 가변비용(AVC)보다 높더라도 평균비용(AC)보다 낮다면 생산을 중단하게 된다.

d. 단기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회계적 이윤은 손실과 이익이 발생할 수 있지만, 장기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회계적 이윤은 0이다.

e. 독점시장에서는 기업이 가격차별을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격차별을 할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순수독점가격)보다 생산량이 더 많다.

① a, b  ② b, c  ③ c,d  ④ a, e  ⑤ d, e

▶ 해설

장기 완전경쟁시장에서는 균형이 장기평균비용의 최소점에서 이루어지며 가격도 장기평균비용 수준으로 하락하여 초과이윤이 0이 된다. 그러나 여기서의 이윤은 경제적 이윤으로써 생산과정에서 투입된 자본을 포함하는 모든 자원의 기회비용을 뺀 나머지를 뜻하는 것이며, 회계적 이윤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단기에서는 가격이 평균비용보다 낮은 경우 기업은 손실을 보게 되지만, 가격이 가변비용보다 높을 때는 생산하는 것이 생산하지 않는 것보다 더 적은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생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평균 가변비용을 생산중단가격으로 부른다. 정답은 ③.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