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제1 : 창고에 화재…재고처리 어떻게
(주)AB는 최근 화재 때문에 재고창고에 보관 중이던 원가 125만원의 재고자산이 손상됐다. 손상된 재고자산은 재활용업자에게 45만원에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회사가 손상된 재고자산을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지 않고 수리를 할 경우 수리비 23만원이 발생하고 회사 소유 아웃렛에서 80만원의 가격에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는 경우와 수리 후 판매하는 경우 중 회사가 선택할 최선의 대안은 무엇이며, 선택된 대안의 기회원가는 얼마인가?
①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는 것이 최선이며 기회원가는 125만원이다.
②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는 것이 최선이며 기회원가는 102만원이다.
③ 수리 후 판매하는 것이 최선이며 기회원가는 23만원이다.
④ 수리 후 판매하는 것이 최선이며 기회원가는 45만원이다.
⑤ 두 대안 모두 회사에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 해 설
기업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원가의 개념으로 매몰원가(sunk cost)와 기회원가(opportunity cost)가 있다. 매몰원가는 과거에 이미 발생하여 의사결정을 통해 변경할 수 없는 원가로 의사결정과는 무관하다. 위의 예제에서 재고창고에 보관 중이던 재고자산의 당초 원가인 125만원이 매몰원가이다. 기회원가는 두 가지 이상의 대안 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포기한 대안에서 얻을 수 있는 유형, 무형의 가치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예제에서 기업이 수리 후 판매하기로 결정할 경우 기회원가는 포기한 대안인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여 받을 수 있는 45만원이다. 이때 기업이 수리 후 판매하는 대안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은 57만원(판매액-수리비=80만원-23만원)으로 기회원가인 45만원보다 크기 때문에 수리 후 판매하는 대안이 최선이다. 정답은 ④
★ 예제2 : 총자본 = 자본금 + 이익잉여금
(주)BC는 2011년 1월 1일에 영업을 시작해 2011년 12월 31일 다음과 같은 재무정보를 보고했다. 다음 표를 기초로 한 재무제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무실비품 140만원, 현금 40만원, 매출 320만원, 임대료 40만원, 매입채무 20만원, 자본금 80만원, 소모품 20만원, 전기료 20만원, 매출채권 40만원, 급여 120만원, 단기차입금 50만원, 배당금 40만원, 미지급급여 10만원, 광고비 20만원
① 손익계산서에 보고된 총비용은 200만원이다.
② 손익계산서에 보고된 당기순이익은 120만원이다.
③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자산은 240만원이다.
④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이익잉여금은 80만원이다.
⑤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자본은 200만원이다.
▶▶ 해 설
(주)AB는 최근 화재 때문에 재고창고에 보관 중이던 원가 125만원의 재고자산이 손상됐다. 손상된 재고자산은 재활용업자에게 45만원에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회사가 손상된 재고자산을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지 않고 수리를 할 경우 수리비 23만원이 발생하고 회사 소유 아웃렛에서 80만원의 가격에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는 경우와 수리 후 판매하는 경우 중 회사가 선택할 최선의 대안은 무엇이며, 선택된 대안의 기회원가는 얼마인가?
①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는 것이 최선이며 기회원가는 125만원이다.
②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는 것이 최선이며 기회원가는 102만원이다.
③ 수리 후 판매하는 것이 최선이며 기회원가는 23만원이다.
④ 수리 후 판매하는 것이 최선이며 기회원가는 45만원이다.
⑤ 두 대안 모두 회사에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 해 설
기업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원가의 개념으로 매몰원가(sunk cost)와 기회원가(opportunity cost)가 있다. 매몰원가는 과거에 이미 발생하여 의사결정을 통해 변경할 수 없는 원가로 의사결정과는 무관하다. 위의 예제에서 재고창고에 보관 중이던 재고자산의 당초 원가인 125만원이 매몰원가이다. 기회원가는 두 가지 이상의 대안 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포기한 대안에서 얻을 수 있는 유형, 무형의 가치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예제에서 기업이 수리 후 판매하기로 결정할 경우 기회원가는 포기한 대안인 재활용업자에게 판매하여 받을 수 있는 45만원이다. 이때 기업이 수리 후 판매하는 대안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은 57만원(판매액-수리비=80만원-23만원)으로 기회원가인 45만원보다 크기 때문에 수리 후 판매하는 대안이 최선이다. 정답은 ④
★ 예제2 : 총자본 = 자본금 + 이익잉여금
(주)BC는 2011년 1월 1일에 영업을 시작해 2011년 12월 31일 다음과 같은 재무정보를 보고했다. 다음 표를 기초로 한 재무제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무실비품 140만원, 현금 40만원, 매출 320만원, 임대료 40만원, 매입채무 20만원, 자본금 80만원, 소모품 20만원, 전기료 20만원, 매출채권 40만원, 급여 120만원, 단기차입금 50만원, 배당금 40만원, 미지급급여 10만원, 광고비 20만원
① 손익계산서에 보고된 총비용은 200만원이다.
② 손익계산서에 보고된 당기순이익은 120만원이다.
③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자산은 240만원이다.
④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이익잉여금은 80만원이다.
⑤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총자본은 200만원이다.
▶▶ 해 설

해당기간에 발생한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손익계산서는 수익(매출)에서 비용(급여, 소모품비, 광고료, 임차료, 전기료, 감가상각비 등)을 차감하여 당기순이익을 보고한다. 반면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에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 및 자본의 구성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자산은 유동자산(현금, 매출채권, 소모품 등), 투자자산(투자부동산, 장기대여금 등), 유형자산(토지, 건물, 기계, 비품 등), 그리고 무형자산(영업권, 특허권 등)으로 구별된다. 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별되며, 자본은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으로 구분된다. 위의 예제는 전기로부터 이월된 이익잉여금이 없으므로 2011년 12월 31일의 이익잉여금은 120만원-40만원=80만원이고 총자본(자본금+이익잉여금)은 80만원+80만원=160만원이다. 정답은 ⑤
[유승원 고려대 경영대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승원 고려대 경영대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일반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9.07 |
---|---|
도전받는 경제학 - 새 해법을 찾는다 2부 ④ (0) | 2010.08.27 |
도전받는 경제학 - 새 해법을 찾는다 2부 ③ (0) | 2010.08.25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8.25 |
도전받는 경제학 - 새 해법을 찾는다 2부 / ② `보이지 않는 손`의 붕괴 (0) | 201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