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제1 : 집단의사결정이 실패하는 원인은
크게 실패한 집단 의사결정을 분석해보면, 의사결정과정이 집단사고(Groupthink)로 흘렀기 때문인 사례가 많다. 다음 중 집단사고의 증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낮은 집단 응집력
② 극단적인 낙관주의
③ 부정적인 정보의 차단
④ 경쟁자들에 대한 평가절하
⑤ 무조건적인 동의에 대한 압력
▶ 해설
어빙 재니스가 명명한 집단사고는 집단 구성원들이 과도하게 만장일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정보는 사전에 차단하여 대안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무시하고, 경쟁자들에 대한 평가절하와 극단적인 낙관주의로 흐름으로써 결과적으로 잘못된 의사결정에 이르는 과정을 지칭하는데, 집단 구성원들 간 응집력이 높을수록 집단에 의한 동조압력이 높아서 집단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 정답은 ①.
◆예제2 : 조직의 변화관리는 왜 어려울까
급변하는 경영환경으로 인해 성공적인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는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요건이 되었다. 수많은 기업의 변화관리 성공ㆍ실패 사례에 비추어볼 때 변화관리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평가되는 것은?
① 제시된 해결책의 실행
② 실행한 해결책의 성패에 대한 평가
③ 당면 문제에 대한 정확한 원인 파악
④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대응방안 개발
⑤ 조직 구성원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참여
▶해설
변화관리는 당면 문제에 대한 진단, 해결책 개발ㆍ실행, 그 성과에 대한 분석과 후속조치에 이르기까지 어느 하나 쉬운 과정은 실제로 없다. 그 이유는 많은 구성원들이 유기적으로 엮여서 돌아가는 조직에서의 변화란 어떤 형태로든 많은 사람들이 현재 편안하게 반복하고 있는 프로세스에 변화를 초래하고, 이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변화관리에 실패하는 조직들을 보면, 이와 같은 변화에 대한 부담감이나 두려움으로 조직 구성원들이 변화의 필요성을 무시하거나 조직의 변화 노력에 소극적으로 또는 적극적으로 저항함으로써 조직의 변화관리 노력이 제대로 결실을 맺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답은 ⑤.
[조국현 하와이 퍼시픽대 경영학과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크게 실패한 집단 의사결정을 분석해보면, 의사결정과정이 집단사고(Groupthink)로 흘렀기 때문인 사례가 많다. 다음 중 집단사고의 증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낮은 집단 응집력
② 극단적인 낙관주의
③ 부정적인 정보의 차단
④ 경쟁자들에 대한 평가절하
⑤ 무조건적인 동의에 대한 압력
▶ 해설
어빙 재니스가 명명한 집단사고는 집단 구성원들이 과도하게 만장일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정보는 사전에 차단하여 대안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무시하고, 경쟁자들에 대한 평가절하와 극단적인 낙관주의로 흐름으로써 결과적으로 잘못된 의사결정에 이르는 과정을 지칭하는데, 집단 구성원들 간 응집력이 높을수록 집단에 의한 동조압력이 높아서 집단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 정답은 ①.
◆예제2 : 조직의 변화관리는 왜 어려울까
급변하는 경영환경으로 인해 성공적인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는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요건이 되었다. 수많은 기업의 변화관리 성공ㆍ실패 사례에 비추어볼 때 변화관리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평가되는 것은?
① 제시된 해결책의 실행
② 실행한 해결책의 성패에 대한 평가
③ 당면 문제에 대한 정확한 원인 파악
④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대응방안 개발
⑤ 조직 구성원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참여
▶해설
변화관리는 당면 문제에 대한 진단, 해결책 개발ㆍ실행, 그 성과에 대한 분석과 후속조치에 이르기까지 어느 하나 쉬운 과정은 실제로 없다. 그 이유는 많은 구성원들이 유기적으로 엮여서 돌아가는 조직에서의 변화란 어떤 형태로든 많은 사람들이 현재 편안하게 반복하고 있는 프로세스에 변화를 초래하고, 이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변화관리에 실패하는 조직들을 보면, 이와 같은 변화에 대한 부담감이나 두려움으로 조직 구성원들이 변화의 필요성을 무시하거나 조직의 변화 노력에 소극적으로 또는 적극적으로 저항함으로써 조직의 변화관리 노력이 제대로 결실을 맺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답은 ⑤.
[조국현 하와이 퍼시픽대 경영학과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일반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최진기!! 그가 돌아 왔다 [최진기의 경제 톡톡] SBS CNBC (0) | 2011.01.14 |
---|---|
[세계지식포럼] 1일차 (0) | 2010.10.13 |
도전받는 경제학 - 새 해법을 찾는다 2부 ④ (0) | 2010.08.27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8.27 |
도전받는 경제학 - 새 해법을 찾는다 2부 ③ (0) | 201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