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d푸른하늘b 2009. 10. 15. 23:19

매경TEST 예제 풀어보세요

◆ 주가수익비율 PER의 특징은

[예제1]

주가수익비율(PER)은 특정 주식 또는 주식시장 전체의 과대 또는 과소 평가의 지표로 사용된다. 다음 중 P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a.자기자본이익률(ROE)이 증가하면 PER도 증가한다.

b.이익에 대한 내부유보율이 높을수록 PER는 증가한다.

c.시중금리가 상승할수록 PER는 증가한다.

d.성장가능성이 높은 벤처기업의 경우 PER는 낮다.

e.PER는 대개 기업의 성장률(g)과 비슷하다.

(1) a,b,c(2) a,b,d(3) a,d,e(4) b,c,e(5) c,d,e

[해설]

주가수익비율(PER)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투자지표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PER가 높으면 기업이 영업활동으로부터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게 형성되었으며 PER가 낮으면 이익 대비 주가가 낮게 형성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주식의 경우는 해당 산업 평균 PER와의 비교를 통해 주가의 과대, 과소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전체 주식시장의 경우는 국가 산업의 발전정도에 따른 적정 PER를 산정해 과열여부를 알 수 있다. PER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당히 많다. 먼저 자기자본이익률이 높으면 기업의 성장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PER는 증가한다. 또한 발생한 이익에 대한 유보율이 높을수록 PER는 증가한다. 단 자기자본이익률이 자본조달비용보다 높은 경우에 한해 이 관계가 성립한다. 즉 자기자본이익률이 자본조달비용보다 낮은 경우에는 유보율이 높아져 재투자를 할수록 손해를 보게 되므로 기업의 가치는 오히려 하락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논리로 시중금리가 상승하면 자본조달 비용이 높아져 PER는 낮아지게 된다. 한편 성장가능성이 높은 벤처기업의 경우 성장률이 자본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하기 때문에 PER는 낮게 된다. 또한 PER는 일반적으로 배당금이나 이익의 기대 성장률을 나타내는 대용치로도 사용된다.

정답은 (3)



◆공매도 어디까지 허용되나

[예제2]

지난해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각국 정부는 공매도를 규제한 바 있다. 한국도 지난해 10월부터 공매도를 금지했으나 최근 주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지난 6월부터 비금융주에 한해 공매도를 허용하였다. 공매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다면?

a.공매도는 주가하락이 예상될 경우 사용하는 투자전략이다.

b.공매도는 대주 또는 대차거래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개념이다.

c.국내시장에서 공매도의 대부분은 외국인투자자에 의해 시행된다.

d.국내에서 무차입공매도(naked short selling)도 허용되고 있다.

(1) a,b(2) a,c(3) a,d(4) b,c(5) b,d

[해설]

공매도(short sale)란 먼저 주식을 빌려 매도한 후에 해당 주식을 매입하여 되갚아 이익을 시현하는 투자전략이다. 예를 들어 A주식의 현재가치가 1만원이고 주가하락이 예상되는 경우 투자자는 A주식을 빌려 매도한다. 이후 예상대로 8000원으로 하락했다면 시장에서 A주식을 매입해 증권사에 주식을 상환하면 2000원의 이익을 시현할 수 있는 것이다. 공매도는 크게 주식을 차입한 후에 매도주문을 내는 차입공매도(covered short selling)와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무차입공매도(naked short selling)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국내에서는 차입공매도만을 허용하고 있다.

한편 실무에서는 대주 또는 대차거래와 혼용해서 사용되는데 정확하게는 기관과 개인투자자 간의 주식 대여는 대주거래로, 기관 간 주식대여는 대차거래로 불린다.

공매도는 이같이 대여한 주식을 실제로 주식시장에서 매도하는 행위를 일컫는 것으로 단순히 주식대여 관계를 나타내는 대주, 대차거래와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다른 개념이다. 2006년부터 지난해 9월 말까지 총공매도금액 62조원 중 외국인투자자의 거래규모가 55조원으로 나타났다. 정답은 (2)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부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