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용어

[매경 TEST]예제 문제 풀어보세요

d푸른하늘b 2010. 3. 5. 02:44

매경 TEST 5월 8일 시험…예제 문제 풀어보세요
★ 예제1 - 삼겹살값 오를때 목살 수요는?

다음 중 수요의 법칙과 관련이 없거나 어긋나는 내용을 고르면?

ㄱ. 환율 변동으로 여행경비가 상승했지만 해외여행자 수가 증가했다.

ㄴ. 마트에서 파는 돼지고기 중 삼겹살의 값이 급등하면 목살이 더 잘 팔린다.

ㄷ. 고가의 유기농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자 저가 화장품의 소비량이 감소했다.

ㄹ. 커피 가격이 상승하자 커피크림의 가격은 하락했다.

ㅁ. 소득 증가로 인해 다이어트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다.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ㄴ, ㅁ ⑤ ㄱ, ㅁ

▶ 해설

`수요의 법칙`이란 어떤 상품의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그 상품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환율 문제로 여행경비가 상승한 것은 서비스에 대한 가격이 상승한 것인데 여행자 수가 감소하지 않고 증가했으니 수요의 법칙에 어긋난다.

돼지고기 삼겹살 부위의 값이 증가하면 삼겹살의 수요량은 감소하고, 따라서 대체재 관계에 있는 목살의 수요는 증가할 수 있다. 고가 유기농 화장품의 수요가 소득 증가나 미용에 대한 선호의 변화 등으로 인해 증가하면 대체재인 저가 화장품에 대한 수요는 감소한다. 따라서 가격이 동일할 경우 저가 화장품의 소비량은 감소하게 된다.

커피 가격의 상승은 커피에 대한 수요량을 감소시키고, 보완재 관계에 있는 커피크림의 수요가 함께 감소한다. 따라서 예전과 동일한 수요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피크림의 가격이 하락해야 한다. 소득 증가로 인한 다이어트 수요 증가는 다이어트라는 상품이 정상재임을 의미하지 수요의 법칙과는 직접적 관계가 없다. 정답은 ⑤



★ 예제2 - 한계비용과 평균비용의 관계는?

다음은 기업의 생산비용과 관련된 내용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고정비용(TFC)은 단기와 장기에 모두 존재한다.

ㄴ. 한계비용(MC)은 평균비용(ATC)의 최저점을 통과한다.

ㄷ. 평균고정비용(AFC)은 상수이다.

ㄹ. 가변비용(TVC)이란 가변투입요소와 관련된 비용을 의미하며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커진다.

ㅁ.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한계비용이 평균비용보다 항상 더 높다.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ㅁ ④ ㄱ, ㄷ ⑤ ㄹ, ㅁ

▶ 해설

경제학에서 단기와 장기의 구분은 시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단기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고정투입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를 일컫고, 장기에는 모든 투입요소가 가변적이다.

따라서 장기에는 고정투입요소와 관련된 고정비용이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고정비용은 생산량과 관계없이 고정된 상수 값이므로 이를 생산량으로 나눈 평균고정비용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한편 가변비용은 가변투입요소와 관련된 비용으로 생산량이 늘어남에 따라 함께 증가한다.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비용체감, 불변, 체증의 단계를 따르는 일반적인 비용함수를 고려할 경우, 평균비용은 U자 형태를 갖고 있으며 한계비용곡선이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을 아래에서 위로 지나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규모의 경제가 있다는 것은 생산규모가 커질수록 생산단가가 낮아지는 것으로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비용이 하락함을 의미한다. 평균비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은 한계비용이 평균비용보다 더 작을 경우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어떤 반에 새로 전학 온 학생의 키가 그 반 학생들의 평균보다 작다면 전학 온 학생을 포함한 반 전체 학생들의 평균은 더 작아진다는 것은 쉽게 추론할 수 있다. 정답은 ②

[숭실대 경제학과 김현숙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