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제1 : 자유무역이 주는 이득
국가 간 교역과 교역을 통한 이득(gains from trade)에 대한 다음 서술 중 옳은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ㄱ. 자유무역(free trade)은 교역국 모두에 이득이 된다.
ㄴ. 모든 국가는 한 가지 재화에 대해 비교우위를 가질 수 있다.
ㄷ. 어떤 국가가 교역을 통해 A라는 재화를 수입하면 그 국가의 모든 구성원은 이득을 얻는다.
ㄹ. 어떤 국가가 교역을 시작한 후 C재화의 국내 가격이 상승했다면 그 국가는 C재화의 수입국이다.
ㅁ. 한 나라가 B라는 재화의 수출국이 된다면 이는 B라는 재화 생산에 있어 절대우위가 있기 때문이다.
①ㄱ, ㄴ ②ㄱ, ㄷ ③ㄴ, ㄹ ④ㄷ, ㅁ ⑤ㄹ, ㅁ
▶▶ 해 설
국가 간 교역을 발생시키는 원인은 각 재화에 대한 비교우위의 차이다. 어떤 국가에서 특정 재화의 생산에 들어가는 투입비용이 다른 국가에 비해 높아 절대우위를 갖지는 못하지만 국가 내 다른 재화에 비해 생산의 기회비용이 더 싸다면 그 특정 재화에 대해 비교우위를 갖게 돼 교역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모든 국가는 한 가지 재화에 대해 비교우위를 지니고 있다. 자유무역은 교역이 없을 때와 비교하여 교역 당사국 모두에 사회잉여(social surplus) 전체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국가 전체에는 이득이 되지만 국가 내 구성원 간 득실에는 차이가 생긴다.
만약 A재화를 수입했다면 국내 가격이 낮아지므로 수입한 국가의 소비자는 이득을 보지만 생산자는 손해를 입게 된다. 교역을 통해 교역 이전에 비해 국내 가격이 상승했다는 것은 그 재화의 국제 가격이 국내 가격보다 높았다는 것이고 따라서 그 재화에 대한 수출국이 된다. 정답은 ①.
★ 예제1 : 기업의 이윤극대화
기업의 이윤 극대화와 비용 극소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면?
ㄱ. 이윤 극대화와 비용 극소화는 동일한 개념이다.
ㄴ. 비용을 극소화하는 기업은 노동의 한계생산에 대한 임금의 비율이 한계비용과 일치하는 수준에서 고용을 결정한다.
ㄷ. 완전경쟁이라면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기업은 노동의 한계생산수입과 임금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고용량을 결정한다.
ㄹ. 동일한 임금에 대해 완전경쟁 재화시장 내의 기업보다 불완전 경쟁시장 내의 기업이 더 많은 노동자를 고용한다.
ㅁ.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기업이 완전경쟁 요소시장과 완전경쟁 생산물시장에 직면할 경우 노동의 한계생산가치가 임금과 동일해지는 수준에서 고용량을 결정하면 된다.
①ㄱ, ㄴ ②ㄴ, ㄷ ③ㄱ, ㄹ ④ㄷ, ㅁ ⑤ㄹ, ㅁ
▶▶ 해 설
|
||
김현숙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 |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일반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7.15 |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7.14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7.01 |
[매경 TEST] 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6.29 |
[매경 TEST]예제 풀어보세요 (0) | 2010.06.22 |